비만 치료제 좀 더 간소화된 알약 형태로 앞으로 알약 하나로 체중을 감소하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
2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오포글리프론 3상의 탑라인(주요 지표)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 효과를 입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오프글리프론은 위고비, 젭바운드 등 블록버스터 주사제인 'GLP-1'약물을 먹을 수 있게 만든 저분자 경구용 GLP-1은 음식을 먹거나 혈당이 올라 가면 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당초 당뇨병 치료에 사용했으나 GLP-1이 뇌의 포만중추를 자극해 식욕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비만약으로 더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ACHIEVE-1'연구는 릴리가 당뇨병,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3상연구 7건 중 첫 번째 연구입니다. 해당 3상에서 릴리는 2형 당뇨병 환자 559명에게 40주간 오포글리프론 혹은 가짜약을 패일 투여했습니다.
이약을 효틍을 평가를 위한 1차 평가지표는 '혈당(당화혈색소. A1C) 감소'로, 오포글리프론을 매일 3mg, 12mg, 36mg 복용하는 그룹으로 나눠 임상을 진행했더니 당화혈색소가 1.3 ~1.6% 줄었습니다. 위약의 0.1% 감소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차 지표를 충족했습니다.
환자들의 체중 7.3kg 줄어
2차 평가지표(체중 감소, 기간 40주, 오포글리프론 복용)
오포글리프론 복용군 | 결과치 |
3mg | 평균 4.7%(4.4kg) |
12mg | 평균 6.1%(5.5kg) |
36mg | 평균 7.9%(7.3kg) |
위약 복용군 | 평균 1.6%(1.3kg) |
오포클리프론 12mg, 36mg 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적을 냄
릴리는 올해 말까지 체중 관리 목적으로 허가 신청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내년에는 당뇨병 치료제로 신청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화이자, 암젠 등 먹는 비만약을 개발하던 경쟁사들이 최근 개발을 중단한 상화에서 나온 발표라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먹는 GLP-1이 최종적을 개발에 성공한다면 자가 주사해야 하는 걸 꺼려했던 사람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달성한 체중 감량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선택의 여지가 생길 것으로 기대됩니다.